콘텐츠로 건너뛰기

우분투 부팅 USB 만드는 방법

  • IT

 

우분투 부팅 USB 만들기

 

우분투 설치를 위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부팅 USB를 만드는 것입니다. 많은 사용자들이 처음에는 “어렵다”고 느끼지만, 우분투 부팅 디스크는 실제로 매우 간단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특히 Rufus, UltraISO 같은 도구를 사용하면 클릭 몇 번으로도 완성할 수 있죠.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 우분투 부팅 USB 제작 방법과 주의사항, 설치 전 준비 과정까지 단계별로 알아보겠습니다.

 

 

 

 

 

 

 

 

우분투 부팅 준비 과정

 

우분투 부팅 USB를 만들기 전, 운영체제와 하드웨어 환경을 점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설치할 PC의 부팅 방식(UEFI 또는 Legacy)에 따라 설정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UEFI와 MBR의 차이 이해하기

구분설명권장 환경
UEFI최신 시스템의 표준, 빠른 부팅 및 보안 지원대부분의 최신 노트북·PC
MBR구형 BIOS 기반의 파티션 방식2015년 이전 구형 PC
GPT대용량 디스크 및 다중 파티션 지원우분투 22.04 이상 필수

BIOS 모드가 UEFI인지 MBR인지 확인하려면 `msinfo32` 또는 `diskmgmt.msc` 명령으로 파티션 스타일을 확인하면 됩니다. GPT를 권장하지만, 시스템에 따라 맞게 선택해야 안정적인 부팅이 가능합니다.

 

USB 메모리 준비하기

  • 최소 용량 8GB 이상
  • USB 3.0 이상 사용 시 제작 속도 향상
  • 기존 데이터는 모두 삭제되므로 사전 백업 필수

Rufus 또는 UltraISO를 사용할 때 USB 포맷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중요한 자료는 미리 다른 저장장치에 옮겨두세요.

 

우분투 ISO 파일 다운로드

  1. 우분투 공식 사이트(바로가기) 접속
  2. 최신 LTS 버전(예: 24.04 LTS) 선택
  3. 다운로드 후 SHA1 해시값 검증으로 파일 손상 여부 확인

다운로드 서버가 느릴 경우, 카카오 미러 서버(바로가기)를 이용하면 국내에서 더 빠르게 받을 수 있습니다.

 

 

 

 

Rufus로 우분투 부팅 USB 만들기

 

Rufus는 가장 대중적이고 간편한 부팅 디스크 제작 도구입니다. 설치가 필요 없는 포터블 버전도 제공되어, 초보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Rufus 설정 방법

  • 장치: 부팅 USB 선택
  • 부팅 선택: 다운로드한 Ubuntu ISO 선택
  • 파티션 구성: GPT (UEFI용)
  • 파일 시스템: FAT32
  • 볼륨 레이블: Ubuntu 24.04 (임의 설정 가능)

‘시작’을 누르면 경고창이 표시되며 USB의 모든 데이터가 삭제됩니다. OK를 눌러 진행하면 포맷과 이미지 기록이 동시에 이루어집니다.

READ  교보문고 전자도서관 무료 이용 최신 가이드 (앱·PC 완벽 설명)

 

Rufus 부팅 오류 해결 팁

  1. USB 인식 불가 → 관리자 권한으로 Rufus 실행
  2. ISO 손상 → SHA1 해시값 재검증
  3. 완료 후도 ‘시작’ 버튼 활성화 → 단순 UI 표시 오류, 정상 제작 완료

제작 완료 후에는 ‘닫기’를 눌러 Rufus를 종료하고, USB를 안전하게 제거합니다.

 

제작 완료 후 테스트

  • USB를 연결한 상태로 재부팅
  • F2 또는 F12, DEL 키를 연타하여 BIOS 진입
  • Boot 순서를 USB 우선으로 변경 후 저장

우분투 로고가 뜨면 부팅 USB가 정상 작동하는 것입니다.

 

 

 

 

UltraISO로 부팅 디스크 만들기

 

UltraISO는 Rufus 대안 프로그램으로, 세밀한 제어가 필요한 경우 유용합니다. Rufus보다 직관성은 떨어지지만, ISO 이미지 수정 및 추가 기능이 풍부합니다.

 

 

 

 

UltraISO 기본 설정

  • 상단 메뉴 → [부팅] → [디스크 이미지 기록] 선택
  • 이미지 파일: Ubuntu ISO 선택
  • 디스크 드라이브: USB 지정
  • 쓰기 방식: USB-HDD+ (기본 권장)
  • ‘쓰기’ 클릭 후 완료될 때까지 대기

진행 중에는 ‘기록 완료’ 메시지가 나타날 때까지 절대 USB를 분리하지 마세요.

 

UltraISO의 장점

항목설명
이미지 수정 가능ISO 내부 파일 직접 추가/삭제
부팅 섹터 설정BIOS/UEFI 환경별 커스터마이징
로그 기록제작 과정 전체를 로그 파일로 저장

 

제작 후 검증 방법

  • USB를 PC에 연결 후 ‘탐색기’에서 파일 구조 확인
  • EFI 폴더와 casper 폴더가 있으면 정상 부팅 이미지
  • 이상이 없으면 바로 BIOS에서 부팅 테스트 진행

UltraISO는 Rufus 대비 고급 기능이 많아, 개발자나 서버 관리용 우분투 환경 구축 시 적합합니다.

 

 

 

 

우분투 설치 전 BIOS 설정

 

우분투 부팅 USB를 만들었다면, 이제 BIOS(또는 UEFI) 설정을 조정해야 합니다. 이 단계에서 올바르게 설정하지 않으면, USB 부팅이 되지 않거나 설치가 중간에서 멈출 수 있습니다.

 

BIOS 진입 방법

  • 전원을 켠 직후 F2, F10, F12, Del 키 연타
  • 메인보드 제조사에 따라 다르므로 모델명으로 검색
  • 노트북의 경우 화면에 ‘Press F2 for Setup’ 등의 문구가 표시됨

BIOS 설정에서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항목은 Secure Boot입니다. Secure Boot가 활성화되어 있으면 우분투 설치가 차단되므로, 반드시 OFF로 변경하세요.

 

주요 설정 항목

항목권장 설정설명
Secure BootDisable보안부팅 해제
Boot ModeUEFI최신 시스템 기본 모드
Boot PriorityUSB > HDDUSB 우선 부팅 설정
SATA ModeAHCISSD 호환성 향상

설정 후 F10을 눌러 저장하고 종료합니다. 이제 컴퓨터는 자동으로 USB로 부팅을 시도하게 됩니다.

READ  음으로 노래 찾기, 네이버로 3초면 해결! 가사 몰라도 OK

 

설치 중 언어 및 네트워크 설정

  • 언어는 영어(English)로 설정 시 오류 최소화
  • Wi-Fi 연결은 선택사항이지만, 최신 패키지 업데이트를 위해 권장
  • ‘Install Ubuntu’를 클릭하고 안내에 따라 진행

이 단계에서 디스크 파티션 설정을 정확히 해야 하므로, 다음 절에서 상세히 다룹니다.

 

 

 

 

듀얼부팅을 위한 파티션 설정

 

우분투는 기존 윈도우와 별도로 설치할 수 있으며, 이를 듀얼부팅(Dual Boot) 이라고 합니다. 이 경우 한 컴퓨터에서 윈도우와 우분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파티션 분할 준비

  • Windows에서 `diskmgmt.msc` 실행
  • 주 드라이브(C:) 우클릭 → 볼륨 축소
  • 최소 80~100GB 공간 확보 (우분투용)
  • 축소된 영역은 ‘할당되지 않음’ 상태로 남겨둠

이 과정을 통해 우분투 설치 시 “Something else” 옵션을 선택해 직접 파티션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우분투 설치 시 파티션 구성 예시

파티션 종류크기마운트 지점파일 시스템
Root (/ )50~100GB/ext4
Swap4~8GB(자동)linux-swap
Home (/home)나머지 전체/homeext4

이 구성을 사용하면 시스템과 개인 데이터가 분리되어, 유지보수가 쉬워집니다.

 

설치 후 부팅 선택화면(GRUB)

설치가 완료되면 컴퓨터 부팅 시 GRUB 부트로더가 나타납니다. 여기서 Ubuntu 또는 Windows Boot Manager 중 하나를 선택해 진입할 수 있습니다.

만약 부트로더가 보이지 않거나 윈도우로만 부팅된다면, BIOS에서 부팅 순서를 Ubuntu로 변경하거나,

Windows의 boot repair 도구를 이용해 복구할 수 있습니다.

 

 

 

 

부팅 실패 및 오류 대처법

 

가끔 우분투 설치 후 로고 화면에서 멈추거나 검은 화면만 표시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하드웨어 호환성 또는 그래픽 드라이버 충돌 가능성이 높습니다.

 

Wayland와 Xorg 충돌 문제

최근 버전(24.04)에서는 기본 그래픽 세션이 Wayland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일부 NVIDIA GPU 또는 KVM 가상환경에서는 충돌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Xorg(X11) 로 변경이 필요합니다.

  • `/etc/gdm3/custom.conf` 파일 열기
  • `#WaylandEnable=false` 주석 제거 후 저장
  • `sudo systemctl set-default graphical.target` 입력
  • 재부팅 후 로그인 화면에서 “Ubuntu on Xorg” 선택

이 설정으로 대부분의 부팅 멈춤 현상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USB 부팅 인식 불가

  • 포트 문제 → USB 3.0 포트 대신 2.0 사용
  • ISO 파일 손상 → 다시 다운로드 후 Rufus로 재작성
  • BIOS에서 Legacy 모드 필요 → 구형 PC일 경우 설정 변경

 

디스크 인식 오류

우분투 설치 중 “디스크를 찾을 수 없습니다” 오류가 발생하면,

BIOS의 SATA 모드가 RAID로 되어 있는지 확인 후 AHCI로 변경해야 합니다. 변경 후 재부팅 시 정상 인식됩니다.

 

 

 

 

마무리하며

 

지금까지 우분투 부팅 USB 제작부터 설치·부팅 문제 해결까지 전 과정을 살펴봤습니다. 단계별로 따라 하면 초보자도 무리 없이 우분투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특히 Rufus 설정, BIOS 보안 해제, 파티션 구성 세 단계만 숙지하면 실패 확률이 거의 없습니다.

우분투는 가볍고 자유로운 개발 환경을 제공하므로,

윈도우와 병행해 사용하면 학습·개발·서버 운영 모두에 유용합니다. 이제 여러분의 컴퓨터에서도 직접 리눅스 세계를 경험해보세요.

 

 

우분투 다운로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top

광고 차단 알림

광고 클릭 제한을 초과하여 광고가 차단되었습니다.

단시간에 반복적인 광고 클릭은 시스템에 의해 감지되며, IP가 수집되어 사이트 관리자가 확인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