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민국의 복지정책이 2026년을 기점으로 대대적인 개편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특히, 저소득층의 기본적인 생계를 보장하기 위한 기초생활수급자 제도는 중위소득 기준과 자산 기준, 부양의무자 및 자동차 보유 요건까지 폭넓게 완화될 예정입니다. 이제까지 수급에서 탈락했던 수많은 가구에게는 다시 한번 기회가 주어진 셈이며, 새롭게 자격을 얻게 될 수 있는 조건들이 무엇인지 꼼꼼히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번 개편은 물가 상승, 고령화, 고립가구 증가 등 사회 전반의 변화에 대응하고자 마련된 것으로, 생계급여를 중심으로 주거, 의료, 자활, 교육 등 전 분야에 걸친 변화가 핵심입니다.
복잡한 수급 조건과 제도 변화를 쉽게 정리하여, 자격 여부를 빠르게 판단할 수 있도록, 이번 글에서는 2026년 기초생활수급자격 변화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중위소득 기준 상향으로 수급 자격 확대

2026년에는 기준 중위소득이 역대 최대폭으로 인상되며 생계, 의료, 주거, 교육급여 대상자 범위가 크게 확대됩니다.
생계급여 기준 35%로 상향
기준 중위소득의 35% 이하인 가구가 생계급여 대상에 포함되며, 1인 가구는 약 82만 원, 4인 가구는 약 207만 원까지 수급 가능성이 생깁니다.
가구원 수 | 기준 중위소득 | 생계급여 (35%) |
---|---|---|
1인 | 2,564,238원 | 897,483원 |
2인 | 4,206,947원 | 1,472,431원 |
4인 | 6,494,738원 | 2,272,158원 |
주거급여 기준 50%로 확대
주거급여는 기존 46~48%에서 50%로 상향 조정되며, 수도권 임대료 실정에 맞춰 기준임대료도 함께 인상됩니다.
- 중위소득 50% 이하 가구가 주거급여 대상
- 지역별 기준임대료 최대 3만 9천 원 인상
- 자가가구는 노후주택 수선비 최대 1,600만 원까지 지원
교육급여·차상위 기준도 확대 적용
- 교육급여: 학생 1인당 초 50만 2천, 중 69만 9천, 고 86만 원 연 1회 지원
- 차상위: 중위소득 50% 이하 가구, 복지 사각지대 확대 방지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 및 사실상 폐지

부양의무자 요건이 대폭 완화되면서 부모, 자녀 소득 때문에 수급에서 탈락했던 사례가 크게 줄어들 전망입니다.
연소득·재산 기준 상향
- 부양의무자 연소득: 기존 1억 원 → 1.3억 원
- 부양의무자 재산: 기존 9억 원 → 12억 원
- 일부 지역은 1.2억 초과도 제한 가능
중증장애인 가구는 기준 아예 면제
- 부모 또는 자녀 중 중증장애인이 포함된 경우
- 부양의무자 소득과 무관하게 수급 가능
적용 확대 대상
- 고령자 단독가구
- 중증질환자, 요양 중인 가구
- 청년층 독립가구
자동차 기준 완화 및 생활필수 차량 인정

기존엔 자동차 보유만으로 수급 자격 탈락이 많았으나, 2026년부터는 생계형 차량에 대한 예외가 대폭 확대됩니다.
배기량 기준 상향
- 기존: 1,600cc 이하 또는 시가 200만 원 이하
- 변경: 2,000cc 이하 또는 시가 500만 원 이하까지 인정
생계형 차량은 소득 산정 제외
- 학원차, 영업용 택배차량
- 도서·산간지역 차량
- 다자녀 가구 차량
자동차 시세 환산 기준 완화
차량 시세 | 기존 소득환산 | 2026년 소득환산 |
---|---|---|
600만 원 | 600만 원 | 60만 원 |
1,000만 원 | 1,000만 원 | 100만 원 |
근로소득 공제 확대와 청년·고령층 지원 강화

2026년부터는 근로소득이 있는 청년층과 고령층을 위한 소득 공제 기준이 대폭 확대되어, 일하면서도 수급 자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개선됩니다.
청년층 근로소득 공제 확대
- 만 24세 이하 → 만 30세 미만으로 대상 확장
- 일정 금액 이하 근로소득은 소득 산정에서 제외
- 프리랜서, 일용직도 공제 대상 포함
고령층 추가 공제 도입
- 만 75세 이상 고령자 대상
- 기존 공제 외 추가 20만~30만 원 공제 검토 중
- 단기 공공일자리 참여 소득도 일부 비과세
자활 참여자 소득 인정 완화
- 자활근로 등 공공일자리 참여자
- 소득 일부 제외 또는 산정 비율 축소
- 자립 의지를 꺾지 않는 방향으로 개선 예정
주의해야 할 탈락 조건과 신고 의무 강화

기초생활수급제도의 자격 완화와 함께, 부정수급 방지를 위한 탈락 조건은 더욱 엄격하게 정비됩니다.
신고 누락 시 탈락 사유
- 일시적 소득 미신고 (용돈, 송금, 아르바이트)
- 차량 시세 또는 명의 누락
- 실제 거주지 불일치
자산 및 송금 내역 주의
- 자녀의 정기적 송금은 소득으로 간주
- 월 30만 원 이상 송금 시 탈락 가능성 높음
- 타인 명의 차량 지속 사용 시 소명 필요
실거주 여부 조사 강화
- 전기·가스 사용량, 인터넷 접속 기록 등으로 실거주지 확인
- 불일치 시 수급 취소 및 환수 조치 가능
- 주민등록상 주소만 등록해두는 위장 전입 방지
마무리하며

2026년 기초생활수급제도는 전례 없는 개편과 완화 조치를 통해 저소득층의 생활 안정과 복지 접근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있습니다. 특히, 생계급여 기준의 상향과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 자동차 요건 개선 등은 그동안 혜택에서 배제됐던 수많은 이들에게 다시 기회를 열어주는 중요한 변화입니다.
그러나 자격 완화와 함께 부정수급 방지 기준도 강화되었기에, 보다 정확한 정보와 꼼꼼한 준비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변화된 기준을 바탕으로 본인의 조건을 다시 점검해보세요.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이웃이나 가족이 있다면 이 정보를 꼭 공유해 주세요.